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보건18

연구 실험실 안전장비 1. 가스 안전장비의 종류 및 특성가. 가스누출경보장치가연성 및 독성가스 누출 시 이를 검지하여 경보하는 장치로 연구 실험실에서 가연성 및독성가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가스누출경보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⑴ 용도 : 가연성, 독성 및 조연성 가스 누출 시 검지하여 경보하여 주는 장치 ⑵ 유지관리- 가스 경보기의 정확한 동작을 위하여 가스 종류에 따라 최소 6개월에 1회 이상 교정 용 가스로 점검. 교정해야 한다.⑶ 설치 개수- 연구 실험실 내에 설치하는 경우, 연구 실험실 내부 둘레 10m마다 1개 이상의 비율로 설치- 연구 실험실 밖에 설치하는 경우, 저장소 내부 둘레 20m마다 1개 이상의 비율로 설치 ⑷ 설치 장소- 경보장치의 감지부는 사용하는 가스의 특성에 따라 설치위치를 고려하여야 한.. 2025. 4. 7.
연구 실험실 안전 관리의 개요 1. 연구 실험실 안전의 특성과 책임1) 연구 실험실 안전의 의미대학, 기업 및 국·공립 출연 연구소의 연구 활동 종사자는 학술적 연구 및 신기술, 신물질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각종 안전사 고에 노출되어 있다.2006년 연구 실험실 사고를 줄이기 위한 법이 제정되었지만, 연구기관 및 종사들의 안전불감증과 정부 지원의 미비 등으로 사고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연구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 원인을 분석해 보면, 연구 실험실 기능의 불비, 설비 및 유지관 리의 불충분, 실험공간의 협소, 실험 작업 안전에 대한 배려부족, 안전전문가의 부족과 교육훈련 체제의 미흡 등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빈번한 사고발생은 우수한 연구 활동종사자의 연구 의욕을 떨.. 2025. 4. 6.
사자성어와 속담으로 배우는 안전 대형사고 및 산업재해 등 사고나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회자되는 “안전불감증”, 그 의미는 안전에 대한 주의가 없는 증세 즉 안전에 대해 소홀하고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여 발생되는 모든 사고의 원천적인 사유가 되는 의미이다.이런 안전불감증이 만들어지는 원인을 과거의 재 해사례, 옛 선조들의 고사성어 등을 통해 하나하나 파악해보려 한다.    1) 재해사례 - 상주 압사사고(1) 개요경북 상주의 시민운동장에서 상주 자전거 축제 행사 중 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시민들이 출입구에서 대기하던 중 출입문이 열리며 시민들이 한꺼번에 자리로 이동하려다 넘어지면서 압사당하는 사고 (2) 인적피해 사망 : 11명, 부상 : 70여 명 (3) 발생원인(ㄱ) 서로 먼저 들어가서 좋은 좌석에 앉으려는 빨리빨리 의식에 의한 사고발.. 2025. 3. 26.
전기작업에 대한 위험 방지 전기설비에는 발전, 변전, 송전, 배전 등의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부터 전기를 동력, 열, 빛 등으로 바꾸어 사용하기 위한 전기사용 기계기구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으며, 이들에 대한 전기작업의 내용도 여러 갈래로 걸쳐져 있다.  1. 전기작업이란?전기주임기술자, 고압전기기술자, 전기공사 작업자 등 소위 전기취급자가 실시하는 전기설비의 부설, 운전조작, 점검, 보수 등의 작업  2. 전기작업의 구분(1) 정전시키고 실시하는 ‘정전작업’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정비·점검 작업을 할 때에는 감전이나 설비 오동작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전로를 개로한 다음 수행하는 작업(2) 송전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활선작업’ 충전전로 또는 그 지지애자의 점검, 수리 및 청소 등 해당 충전전로를 직접 취급하.. 2025. 3. 25.
전기 재해 및 전기 사고 1. 전기사고의 원인전기사고는 대부분 전기에 관한 지식의 부족, 취급자 부주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취급자가 올바른 전기지식을 가지고 세심한 주의로 올바른 취급을 하게 되면 감전사고는 막아 낼 수 있다. 전기사고도 다양하여 전기는 선로에서 표면으로 흐르는 성질이 있어서 직접 전기에 접촉되는 감전(고압인 경우 접근만으로 감전한다.). 아크, 스파크 및 전열에 의한 전기 화상 또는 전기화재, 전기로, 전기용접 등의 아크에 의한 전기성 안염 등이 있다. 이중 가장 많은 것이 감전이다. 손발이 땀으로 젖어 있거나 발바닥이 습할 때에는 100 볼트의 전선에서도 감전하여 사망할 수 있다  2. 감전사고의 특징일반적으로 감전사고라 함은 전기에너지에 의한 인적피해를 총칭하고 있다. 감전사고의 형태는 아래와 같이 구분.. 2025. 3. 25.
관리 대상 유해 물질에 의한 건강 장해의 예방 “관리대상유해물질”은 일으킬 우려가 있어,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보건상의 조치가 필요한 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ㆍ흄(fume), 미스트(mist)등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에서 정한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ㆍ알칼리류, 가스상태 물질류를 말한다. 1. 관리 대상 유해 물질의 종류(1) 유기화합물상온·상압하에서 휘발성이 있는 액체로서 다른 물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는 유기 용제를 포함한 탄화수소계화합물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2 제1호에 따른 물질을 말한다. (2) 금속류고체가 되었을 때 금속광택이 나고 전기·열을 잘 전달하며, 전성 및 연성을 가진 물질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2 제2호에 따른 물질을 말한다. (3) 산·알칼리류수용액 중에서 해리하여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염기와.. 2025. 3. 25.